시황&기사 3

10월 1주차 기상 정리

기사정리 1. 분양 물량 5년 만에 최저, 2018년 29만9390가구, 올해 최대 30만5000가구 2. 작년 대비 17.8% 적은 규모 3. 전체 공급 물량 중 54.6%에 해당하는 물량이 서울/수도권에 집중 4. 최근 아파트값, 공사비, 분양가 상승으로 수요자들 수도원 청약시장 유입, but, 지방은 저조 생각정리 - 부동산에는 사이클이 있었다는 걸 다시 한번 상기 - 2023년 분양 물량이 준다는 이야기는 더 나아가 2025~26년 입주 물량이 준다는 얘기와 연관 高 - 이는 추후 공급 부족 가능성과 더 나아가 전세 수요 증가 가능성도 보임 - 사이클에 타기 위해서 준비하는 자세 필요 기사정리 1. 70주만에 4주 연속 수도권,지방, 매매, 전세 가리지 않고 가격 지표 상승 2. 서울은 0.1% ..

시황&기사 2023.10.11

10월 1주차 원자재 시황

1. STS : 10월 가격 포스코 동결, 국내외 시장 동향 혼조세 - LME 니켈 가격이 연준의 긴축 장기화 암시로 단기적인 약세 흐름 보이나, 페로크룸은 상승 추세를 도이는 등 원가 변동요인 혼재 - 국내외 시장 동향도 방향성을 단정짓기 어려움, 유럽밀은 써차지 인상을 단행 했으나, 중국,일본 등 아시아 국가 금액 반영은 경기지표 하락에 따른 수요부진 영향으로 시장 반영 여부 불투명 2. 후판 : 다소 수그러든 기세 - 국내 고로사들이 10월 톤당 5만원 수준 가격 인상 시도, 그러나 상승 분위기는 수그러든 느낌, 철광석, 점결탄 등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나, 수요가의 저항선, 중국의 수요 침체와 중국산 수출 오퍼가격 보합세 등이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임 - 중국발 가격 약세로 중국 수출가격이 보합세..

시황&기사 2023.10.05

9월 4주차 원자재 시황

1. STS : 서서히 오르는 중 - 여전히 혼조를 거듭 중이지만, 다행인 것은 조금씩 레벨업되고 있음, 업체마다 의견이 적자 판매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데로 수렴이 되고 있어, 일부 업체들을 선두로 단가 이상 시도에도 나선다는 계획 - 수요의 큰 변화는 감지되고 있지 않으나, 공급의 공백 가능성으로 시장이 균형을 찾아가며 점진적인 가격인상 가능성을 보임 2. 후판 : 한 달 반째 유통가 제자리걸음 - 조선향을 제외한 비조선향 분야의 후판 수요가 주춤한데다 수입 후판 가격도 약세가 이어지면서 인상 동력이 사라지고, 매출 감소와 수익성 악화가 이어지며 9월 말까지 시황 반등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임 - 후판 공급 단가 인상 기조를 이어가려는 고로 업계와 구매를 늦추려는 수요가들 사이에서 유통 업계는 3분기..

시황&기사 2023.09.22